[내일배움캠프(PM2기_본캠프)]/서비스기획 입문 11

[캠프 Day 21] Product Discovery - JTBD 방법론을 통한 과제 회고

● Intro 어제 들었던 강의 녹화본이 오늘 올라왔다. 문제정의 방법론을 설명하는 강의였는데, 내용이 인상 깊어 다시 들어봐야겠다 생각했다. 복습하며 새로운 방법은 어떻게 언제 사용하는지, 내 과제에도 적용한다면 어땠을지 등을 고민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JTBD 방법론(강의내용) ▶ JTBD(Jobs To Be Done)란?: 불변하는 것(Needs)이 있고, 변하는 것(상황)이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그때그때 서비스를 고용, 언제든 해고-삭제 가능한 것→ 이렇게 말하면 좀 와닿지 않을 수 있다. 내가 이해한 바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불변하는 '니즈'에만 주목하여, 가변적인 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는 'Job'을 세워 효율적인 방법(수단)을 제공하는 것. '누가' 보다는 '어떤지'.▶ 개인..

[캠프 Day 21] 내가 너에게 던진 질문들(feat. gpt)

● Intro 과제도 마무리되었겠다. 마침 본가에도 올라온 김에, 오늘은 여유를 갖는 하루를 가져본다. 지난 개인과제에서 리뷰데이터를 분석할 때에, LLM을 많이 활용했다.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던졌던 수많은 쿼리들을 정리해 보는 것이 오늘 글의 핵심이다. 뭐가 그렇게 궁금했던 건지 파헤쳐보자.● 데이터 분석 기획: 처음에는 주어진 리뷰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할지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었다. 두서없이 진행하면, 약 200행의 데이터를 여러 번 손보는 일이 있을 것 같아서 그랬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기획했다. ● 단계별 쿼리 ▶Step 1 - 첨부한 파일은 '네이버플러스스토어'의 리뷰 데이터야. 총 194개의 데이터가 존재해. 내가 원하는건 B열의 리뷰내용을 핵심키워드로 구성된 명사형태로 끝나도록 요약해 ..

[캠프 Day 20] 개인과제 - 네이버플러스스토어 개선안(完)

● Intro 드디어 개인과제를 마쳤다. 어제 마지막으로 튜터님께 받은 피드백도 긍정적이었다! 이대로 다듬어서 제출만 하려 한다. 오늘은 크게 적을 내용은 없고, 내 과제를 돌아보며 아쉬운 점 및 보완할 부분만 간략하게 남겨보려 한다.● Last Feedback ▶ 지표정의: 기존 내 AB Test 관찰지표가 모호한 점이 있었다. 단순히 어느페이지에서 어느 페이지로의 '이탈률' 혹은 '전환율'이란 표현만 썼던 것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일단 사용자의 구매여정을 '검색'부터 '구매완료'까지 더 정확히 할 필요가 있었다.- 사용자의 경로를 명확히하고 나니, '이탈률'이란 무엇인지 '구매전환율'이 무엇인지 더 뚜렷하게 나타낼 수 있었다. - 내가 만든 '네이버 최저가'가 영향을 끼치는 곳은 '상품목록 ..

[캠프 Day 19] 개인과제 - 네이버플러스스토어 개선안(4)

● Intro 드디어 마무리지었다. 물론 자질구레한 수정은 있을 수 있겠지만, 스스로 해볼 수 있는 건 완성했다. 어제 보완할 부분들을 미리 정리해두길 참 잘했다. 문제정의 과정을 다듬는 게 조금 까다로웠지만, 전체적으로 큰 문제없이 최초 계획한 대로 진행되었다. 그럼 바로 정리해 보겠다.● 핵심문제 선정 근거 보완- 리뷰 데이터 분석으로 도출한 3가지 문제현상 중에서 1가지 핵심문제를 ICE 메트릭스를 통해 선정했었다.- 기존에는 단순히 원래의 ICE 메트릭스의 원칙을 따르며 진행하다 보니, 임의의 조정 없이는 내가 중요시 여긴 문제가 선정되는 게 쉽지 않았다. - 어제 튜터님의 피드백을 통해, I(Impact)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도 괜찮다는 조언을 들었다. - 이에 따라, 프로덕트가 생애주기 상..

[캠프 Day 18] 개인과제 - 네이버플러스스토어 개선안(3)

● Intro 어제 열심히 문제정의까지 마쳤고, 오늘은 어떤 가설을 세워 어떻게 실행하고 검증할지 고민했다. 추가로, 문제정의 과정에서 왜 이 문제를 선정했는지에 대한 근거가 부족한 것 같아, ICE 매트릭스를 활용하여 보완했다. 그중에 가장 애 먹었던 것은 피그마를 활용해 와이어프레임을 그려보는 것이었는데.. MCP로 해보려던 시도가 보기 좋게 실패했다. 그럼 바로 정리해 보자.● 핵심문제 선정: 핵심 키워드 분석을 통해 도출한 3개의 문제현상 중에서, 왜 '가격비교 기능의 부재'를 핵심문제로 선정했는가. 이를 설명하기 위해, ICE 매트릭스를 사용했다. ▶ 주요 문제현상 3가지▶ ICE Metrix: ICE 매트릭스는 다음 3가지 항목에 각각 1~10점을 부여하여 각 항목의 점수를 곱한 뒤, 가장 높..

[캠프 Day 17] 개인과제 - 네이버플러스스토어 개선안(2)

● Intro 오늘도 정신없이 개인과제를 진행했다. 생각보다 너무 얕봤던 게 틀림없다. 오전까지 주어진 리뷰 데이터를 다듬는데 정신없었다. 이건 일반적인 PM의 업무사이클과는 다르게, 리뷰 데이터를 먼저 받아 분석 후 문제정의-가설수립까지 진행하는 과제이다. 확실히 리뷰데이터를 먼저 분석해 보니, 특정 키워드가 유독 많이 등장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해결하는 가설을 세우기 전에 먼저 프로덕트 비전을 살펴봤다. 내가 문제로 삼은 것이 혹시 의도된 바는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럼 오늘 진행한 내용을 정리해 보자.● 리뷰 데이터 분석: 이는 사실 어제 작업한 내용이다. 방법론적인 부분에서 달라진 사항은 없다. ▶ 데이버 분석 기획- 위와 같이 진행했으며, LLM과 Excel VBA를 활..

[캠프 Day 16] 개인과제 - 네이버플러스스토어 리뷰 분석

● Intro MCP도 써보고, 이것저것 많이 했는데 막상 까보니 눈에 남는 것은 많이 없는 하루였다. 일단 자잘한 내용은 내일 수정하고, 오늘 느즈막히 부리나케 진행한 리뷰 분석만 빠르게 담겠다. ● 리뷰데이터 처리 및 분석: 주어진 리뷰데이터는 숫자 형식으로 된 '별점'과 줄글 텍스트로 구성된 '리뷰내용'으로 이뤄져 있었다.- 내가 궁극적으로 원하는 것은 이 데이터에서 사용자가 불편을 겪는 핵심문제를 뽑아내는 것이었다. - 이를 위해선 먼저, 줄글 '리뷰내용'을 명사로 축약된 '핵심내용'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었다.▶ 리뷰내용 -> 핵심내용: 원하는 처리 결과는 '명사형태로 구성된 15자 내외의 핵심키워드'였다. 자연어 처리는 내가 직접 진행하기에는 역량이 부족하여, LLM을 활용했다. ▷요구사항: ..

[캠프 Day 14] 서비스 기획 입문 - 아티클 스터디_<쏘카 PM의 차량 예약 퍼널 단계 개선기>

● Intro 서비스기획 입문 강의의 마지막에 실습숙제로 등장한 것을 진행해보려 한다. 문제정의~가설수립의 과정을 배울 수 있는 아티클을 선정해 요약해보려 한다. 각종 출처에서 아티클을 찾아보았으나, 강의에서 등장한 자료보다 좋은 퀄리티의 글을 찾기 어려워, '쏘카' PM이 작성한 '부름서비스 성장 과정'을 간략히 요약해보려 한다. 이를 통해, 실제로 내가 관심 있는 프로덕트를 기반으로 가상의 프로젝트도 다음 주제로 이어 작성하려 한다. 바로 아티클을 확인해 보자.● 프로덕트 개선 과정(일반적): 문제확인 → 가설도출 → 가설검증 → 개선안 적용 ▷ 아티클 정리 구성: 서비스 소개 → 문제발견 및 정의 → 가설수립 → 액션 → 검증결과 → 인사이트1. 서비스 소개 ▶ '부름 서비스'란?: 내가 지..

[캠프 Day 13] 커리어데이 - 주의깊게 본 내용들

● Intro 오늘은 '커리어 데이'를 참여하며 뇌를 좀 식혔다. 미뤄뒀던 이력서 기초안도 작성했고, 실제 현업자들의 이야기로 찝찝했던 궁금증도 해결했다. 생각보다 유익한 이야기들이 많아서 두고두고 꺼내볼 생각으로 정리해볼까 한다.● 이력서 기초 가이드 ▶ 스파르타 이력서 제공서식: 부트캠프 내 웹페이지(스파르타 커리어)에서 다음과 같은 이력서 작성 양식을 제공한다.- 단순히, 양식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고 실제로 이곳에서 편집해서 완성시킬 수 있다. 참 좋다.▷ 이력서는 어떻게 쓸까?: 이력서를 구성하는 항목들이나, 기초적으로 갖춰야 하는 지식 및 개인적 인사이트는 다음과 같다. 1. 관련 있는 경력만 자세히: 관련이 적거나 없는 경력은 '사회생활을 했다'를 증명하는 용도로만 짧게 기술하거나, 과감히 삭..

[캠프 Day 12] 서비스 기획 입문 Chapter 1.4~2.2(完)

● Intro 어젠 집중이 좀 어려운 하루였다. 그래서 오늘은 어제보다 더 열심히 살기 좋은 하루다. 어제 썼던 글부터 수정을 마쳤고, 오늘은 서비스 기획 입문 강의를 모두 마칠 예정이다. 강의는 크게 이론과 실습으로 나뉘기도 하는데, 오늘은 일단 강의의 이론적인 부분을 모두 정리하려 한다. 실제 케이스 스터디는 내일 아티클들을 찾아보며 이번 주 내에 마무리할 예정이다. 화이팅!● 가설수립▶ 형태: "만약 ~하면, ~할 것이다"▶ 필수로 포함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두 번째는 매우 중요하다. 1. 가설에 변수와 예상되는 결과를 포함해야 한다.예시 : "만약 무료 배송 옵션을 제공하면, 구매 전환율이 15% 증가할 것이다."- 변수 : 무료 배송 옵션 제공- 결과 : 구매전환율 증가 2. 가설은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