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tro
어제 열심히 문제정의까지 마쳤고, 오늘은 어떤 가설을 세워 어떻게 실행하고 검증할지 고민했다. 추가로, 문제정의 과정에서 왜 이 문제를 선정했는지에 대한 근거가 부족한 것 같아, ICE 매트릭스를 활용하여 보완했다. 그중에 가장 애 먹었던 것은 피그마를 활용해 와이어프레임을 그려보는 것이었는데.. MCP로 해보려던 시도가 보기 좋게 실패했다. 그럼 바로 정리해 보자.
● 핵심문제 선정
: 핵심 키워드 분석을 통해 도출한 3개의 문제현상 중에서, 왜 '가격비교 기능의 부재'를 핵심문제로 선정했는가. 이를 설명하기 위해, ICE 매트릭스를 사용했다.
▶ 주요 문제현상 3가지
▶ ICE Metrix
: ICE 매트릭스는 다음 3가지 항목에 각각 1~10점을 부여하여 각 항목의 점수를 곱한 뒤, 가장 높은 점수의 문제를 핵심문제로 선정하는 문제선정 방법론이다.
▶ ICE Metrix 결과
: 이를 위 문제현상 3가지에 적용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각 현상에 대한 항목별 채점근거는 아래에 있다.
▷ 채점근거
※ 가격비교 기능 부재
- Impact(9) : 기능 도입 시 구매 전환율과 신뢰도, 체류시간에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줄 수 있음
- Confidence(9) : 사용자 피드백(1위, 29%)과 시장 내 가격비교 서비스의 중요성(쿠팡, 11번가 등 경쟁사 사례)에서 확신이 높음
- Ease(3) : 네이버의 기존 가격비교 시스템이 있으나, 플러스스토어의 추천형 구조와 통합하려면 UI/UX, 데이터 연동 등 추가 개발이 필요해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높음(최소 1-2개월 이상)
※ 다크모드 부재
- Impact(4) : 서비스의 핵심 가치(개인화, 추천, 혜택)에는 직접적 영향이 적음
- Confidence(8) : 사용자 피드백에서 다크모드의 필요성은 증명됨(2위, 23%)
- Ease(7) : UI 테마 변경 수준으로, 기존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와 리소스만 충분하다면 비교적 빠르고 쉽게 적용 가능
※ 복사기능 부재
- Impact(3) : 사용자 경험 개선에 도움. 하지만 전체 서비스 지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 Confidence(6) : 리뷰 데이터와 일부 사용자 피드백에 근거해 신뢰도는 중간 이상(3위, 15%)
- Ease(9) : UI/UX 개선 및 간단한 기능 추가로 구현이 매우 쉬움
▷ 핵심 문제현상 1가지
“ 기존 네이버쇼핑의 가격비교 기능이 사라져서 불편해요! ”
● 가설수립
: 어제 해당 문제현상의 원인을 추적해 본 바, '최저가'만 보장되면 가격비교 기능이 대체될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웠다.
▶ 가설
▶ OKR
: 문제현상을 짚고, 가설을 세우고 나니 목표가 명확해졌다. 목표와 함께 이를 검증할 수 있는 지표를 다음과 같이 설정했다.
▷ 설정기준
: 목표는 달성 가능한 수준의 다소 도전적인 목표여야 한다는 점을 상기했다. 이를 위해, 업계평균을 탐색하고, 유사사례의 효과를 참고해 위와 같은 목표를 세웠다.
※ 이탈률
- 일반적으로 이커머스 업계에서 이탈률(고객이 더 이상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거나 구매를 중단하는 비율)은 5~20% 사이이다.
- 이탈률은 한 번에 10% 이상(예: 20% → 10%) 낮추는 것은 매우 어렵고, 1~2% p씩 점진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https://www.linkedin.com/pulse/churn-rate-retail-e-commerce-how-measure-improve-sensorsdata-lvbrc
Churn Rate in Retail & e-commerce: How to Measure and Improve
Churn rate in retail & ecommerce represents the percentage of customers who cease purchasing from a business within a given timeframe. This metric goes beyond mere statistics—it serves as a key indicator of customer retention and loyalty.
www.linkedin.com
https://gocardless.com/en-au/guides/posts/ecommerce-churn-rate-benchmark/
Ecommerce churn rate benchmark
Do you need to learn about a good ecommerce churn rate benchmark? Read our guide on how to calculate churn rate for ecommerce.
gocardless.com
※ 구매전환율
- 이커머스 업계의 평균 전환율은 2.5~3.7% 수준이다.
- 실제로 가격보장제, 가격보상제 정책을 도입한 리테일러들은 고객의 반복구매율과 충성도가 높아졌다는 사례가 존재한다(ex. 11번가 단기 매출 15% 증가).
● 액션
▶ '네이버 최저가' 배지 도입
- 네이버는 이미 네이버 쇼핑의 ‘가격비교’ 기능을 통해 어떤 상품이 최저가인지 알고 있다.
- 이를 활용해, 고객들에게 이 상품이 ‘최저가인지 아닌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기능 정의
- 언제?
: 지난 30일 동안 등록된 상품 정보를 바탕으로
- 어디서?
: 검색 상품 목록 페이지에서 ‘나의 할인 가격’ 밑에
- 어떻게?
: 네이버쇼핑(가격비교) 및 네이버플러스스토어에 등록된 모든 상품의 가격을 비교하여
- 무엇을?
: 해당 상품이 최저가라면, ‘네이버 최저가’라는 배지를 달아준다.
▷ 와이어프레임
- 검색 상품 목록 페이지에서 해당상품이 최저가라면, ‘네이버 최저가’라는 배지를 달아준다.
- 해당 마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모달로 안내한다.
● 가설검증
▶ A/B 테스트
: 아래와 같은 AB TEST를 통해 분석 지표가 달성되는지를 확인한 뒤, 전체 배포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지난번 케이스 스터디에서 탐구했던 '쏘카'의 사례를 참고해, 실험을 설계했다.)
● 보완할 점
1. ICE 매트릭스에서 채점요소 중 더 중요한 부분에 가중치를 두어도 된다. 이를 활용하자.
- 가중치를 두는 이유를 설명할 것. 못하겠으면 상황을 가정
- 이를 바탕으로 재채점 해볼 것
2. 핵심 문제현상 -> 문제정의로 이어지는 문제원인 규명 과정(5 Whys)의 개연성을 강화하자.
- 관련 연구자료, 실제 케이스를 더 찾아서 근거를 마련할 것
- 없으면 가정할 것
3. 가설을 더 뾰족하게, 검증지표도 그에 따라 개편
- 고객이 '네이버 최저가'를 확인하고, 구매결정까지 이르는 과정을 모두 나열해 보자
3-1. 나열된 루트 중 대표루트를 선정하여, 이에 따른 구체적 전환율 및 이탈률 코스를 선정(선택적 접근)
3-2. 전환이나 이탈이 발생할 수 있는 파악가능한 모든 루트를 명시 후, 이를 종합한 전환율 및 이탈률을 지표로 설정(통합적 접근)
한 줄 코멘트: 오늘 끝내려 했으나, 실패. 내일은 그래도 보완할 부분들을 미리 정리해 둬서 수월하..겠죠
'[내일배움캠프(PM2기_본캠프)] > 서비스기획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캠프 Day 20] 개인과제 - 네이버플러스스토어 개선안(完) (0) | 2025.04.25 |
---|---|
[캠프 Day 19] 개인과제 - 네이버플러스스토어 개선안(4) (0) | 2025.04.24 |
[캠프 Day 17] 개인과제 - 네이버플러스스토어 개선안(2) (0) | 2025.04.22 |
[캠프 Day 16] 개인과제 - 네이버플러스스토어 리뷰 분석 (0) | 2025.04.21 |
[캠프 Day 14] 서비스 기획 입문 - 아티클 스터디_<쏘카 PM의 차량 예약 퍼널 단계 개선기>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