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https://brunch.co.kr/@ashashash/177
자신의 사용 경험만으로는 기획의 근거가 될 수 없다
도그냥 서비스 기획 스쿨에서 뽑은 핵심 파트 109개 (1) 이론편 | 최근 서비스 기획 쪽 업무를 더 깊게 맡고 있다. 엄밀히 말하면 이미 만들어진 기획을 정리하고 수정하는 일에 더 가깝다. PM 역할
brunch.co.kr
● Intro
위 본문은 작가가 '도그냥'이라는 분의 '서비스 기획 스쿨'이라는 책을 읽고 그 내용을 이론편/실무편 크게 2개의 챕터로 나누어 쓴 글 중 첫 번째, 이론편에 해당하는 글이다. 근데 도그냥..? 누군지 몰라서 검색해 봤다. 검색해 보니, PM/PO 업계에서는 꽤나 유명하신 분인 것 같다. 언제 한번 꼭 서점에 들러 저분 책을 하나 구매해야겠단 생각이 든다.
이 책은 서비스 기획의 실무적 측면을 상세히 다루며, 특히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과 업무 프로세스를 현실적으로 설명하고 있다고 하는데, 그럼 바로 어떤 내용인지 요약해보겠다.
● 서비스 기획의 본질
- 서비스 기획은 목표를 위해 없었던 일을 새로이 만들고, 그것을 세부적인 계획까지 연결하는 과정이다.
- 기획자의 진정한 가치는 상상을 실제로 어떻게, 얼마만큼 구현하도록 만들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 많은 사람들이 기획을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으로 오해하지만, 실제로는 "전략의 진짜 실행을 위한 정리"라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
● 기획의 근거와 한계
- 서비스 기획에서 가장 중요한 인식은 자신의 이용 경험만으로는 기획의 충분한 근거가 될 수 없다는 점이다.
- 개인적 경험이 시작점은 될 수 있지만, 궁극적인 서비스 개선은 비즈니스 모델과 전략, 방향에 대한 다각도의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서비스 기획자의 시각은 단순히 '불편함'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 진정한 서비스 기획자는 비즈니스 모델, 전략, 개발 환경, 비용, 그리고 서비스 전체의 순환 구조까지 고려하는 폭넓은 시각을 가져야 한다.
● 프로젝트와 프로덕트의 관계
- 서비스 기획에서 프로덕트는 목표이자 결과가 되고, 프로젝트는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과정(수단)이다.
- 서비스 기획자가 프로젝트 관리자와 다른 점은 프로젝트를 서비스 생애주기를 관리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진행한다는 점이다.
- 프로젝트는 일상적 업무가 아닌, 일정 기간 목표를 위해 추진하는 특수한 업무를 의미하며, 최소 세 개의 직군(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이 함께하여 IT 시스템으로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협업 업무를 의미한다.
● 방법론에 대한 이해
- 서비스 기획에서 방법론은 중요하지만, 애자일 방법론과 같은 고급 방법론은 워터폴 방법론이라는 기초를 충분히 익힌 후에 적용해야 한다.
- 방법론 자체를 배우는 것보다 '해결책을 찾아가는 방법'을 아는 것이 진정한 서비스 기획 역량이다.
● 소통과 전달의 중요성
- 기획자는 머릿속에 있는 기획을 프로젝트 팀원에게 구체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하며, 팀원 스스로 자신이 무엇을 만들고 있는지, 무슨 일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 완결성 있는 서비스를 위해서는 모든 팀원이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것이 중요하다.
● 서비스의 완결성
- 서비스의 완결성은 고민의 깊이와 넓이에 의해 결정된다.
- 이러한 고민은 서비스 기획의 3요소인 자사의 IT 구조와 역량, 비즈니스적 이해, 고객의 UX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서비스 전략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의미한다.
- 서비스 전략은 누군가 서비스에 대해 물어보면 즉시 대답할 수 있을 정도로 체화된 고민의 결과여야 한다.
● 법률적 검토의 중요성
- 서비스 프로세스를 상세하게 기획하는 시점에서는 법률적인 부분을 포함한 여러 비즈니스 환경을 검토하고 반영해야 한다.
- 특히 우리나라는 정보 데이터 관련해서 세계 최고 수준의 규제를 가하고 있어, 서비스를 기획할 때 이를 검토하고 시스템에 반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한 줄 코멘트: 서비스 기획을 막연하고 추상적으로만 생각하면 큰일 날 것 같은 내용들이다. 기획자는 마치 뱃일로 따지면, 조타수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만큼 항해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질문은 기획자로 향한다. 어떤 질문을 받아도 답이 틀릴지언정 명확한 답을 갖고 있는 게 그 어떤 것보다 중요하단 생각을 다시 하게 되었다.. 이등병의 관등성명 같이 튀어나와야 한다고 써져 있다.. 확인
'[내일배움캠프(PM2기_사전캠프)] > Daily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전캠프 Day 12] 아티클 스터디_<새로운 기능을 만들기 위한 최악의 설득 근거> (0) | 2025.03.25 |
---|---|
[사전캠프 Day 11] 아티클 스터디_<내가 PM하기 전에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0) | 2025.03.24 |
[사전캠프 Day 10] PM이란 무엇인가 (0) | 2025.03.21 |
[사전캠프 Day 8] 타겟 사용자를 정의하는 것이 왜 중요한가요?(팀학습) (0) | 2025.03.19 |
[사전캠프 Day 7] 페르소나란 무엇인가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