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https://brunch.co.kr/@lulina724/27
새로운 기능을 만들기 위한 최악의 설득 근거
프로덕트 매니저라면 이 주장만은 피하세요 | 많은 모바일 제품 기반 비즈니스에서, 프로덕트의 변화는 제품팀 뿐 아니라 사업, 운영, 마케팅 등 전사 여러 조직에 영향을 미칩니다. 모든 팀에서
brunch.co.kr
◎ 원문: https://uxdesign.cc/the-worst-arguments-for-building-a-new-feature-b30ac3d75f48
The worst arguments for building a new feature
The worst ideas are coming with hilarious arguments. I’ve been lucky enough to hear a good portion of them — Here are my all-time…
uxdesign.cc
● Intro
아티클 스터디를 진행하며 읽었던 글 중에 가장 흥미로운 글이었다. 훌륭한 PM이 되려면 불필요한 기능요구 주장들에 대해 거절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글의 내용이다. 어떤 주장들이 설득력이 없는 것인지 살펴보고, 설득력이 없는 이유에 대한 설득력 있는 주장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요약하면, 핵심에서 벗어난 요구는 거절하라는 것이다. 어떤 내용들이 있는지 살펴보자.
● 프로덕트 매니저가 피해야 할 최악의 주장들
1. 외부 요인에 기반한 유혹적 주장
▶ 경쟁사 모방 유혹 주장
"우리 경쟁자들은 갖고 있는데요"라는 주장은 무조건 거부해야 하는 논리이다. 경쟁자들은 다른 고객과 제품 비전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을 맹목적으로 따라하는 회사는 항상 한 발 뒤처질 수밖에 없다. 경쟁 서비스를 참고하되 서비스의 핵심 가치를 믿고 자신만의 길을 걸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 시장 불안감 활용 주장
"우리가 안 만들면 누군가가 만들 거예요"라는 주장은 서비스 확장을 위한 아이디어와 함께 자주 등장하는 함정이다. 핵심 비즈니스에 집중할 때 성공 확률이 더 높아지며, 고객이 제품을 사랑하는 본질적 가치를 잊지 말아야 한다. 아마존처럼 성공적인 서비스들은 자신만의 핵심 가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 내부 압박에 기반한 타협 주장
▶ 부서 요청 수용 압박
"영업 팀이 필요로 해요"라는 주장은 거절해야 하는 대표적 사례이다. 전체 수익의 90%를 창출하는 고객 요청이 아닌 이상, 단기적 매출만을 위한 기능은 장기적 관점에서 해롭다. 프로덕트 매니저는 단기 목표가 아닌 장기적 관점에서 우선순위를 결정해야 한다.
▶ 과거 계획 집착 논리
"작년부터 백로그에 있었어요"라는 주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자 니즈가 변화한다는 사실을 간과한 것이다. 좋은 백로그는 잘 다듬어지고, 정리되고, 최신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백로그에 오래 머무는 항목들은 그만한 이유가 있으며, 현재 상황에서 필요한지 항상 재검토해야 한다.
▶ 개발 리소스 낭비 주장
"우리 따로 계획한 것이 없어요"라는 주장은 개발자들을 단순히 바쁘게 하기 위한 기능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런 기능들은 대개 충분한 고민 없이 급하게 진행되어 기술 부채를 증가시킨다.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보다 기술 부채를 청산하는 데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다.
3. 편의적 구현 유혹 주장
▶ 낮은 개발 비용 유혹
"이 기능을 만드는 데 몇 시간 안 걸려요"라는 주장은 작업 범위가 핵심 논거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간과한다. 모든 기능은 새로운 복잡성을 만들어내고 향후 유지보수를 필요로 한다. 단순해 보이는 기능도 예상치 못한 예외 케이스로 인해 개발이 길어질 수 있다.
▶ 옵션 제공 절충안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면 되잖아요"라는 주장은 제품의 복잡성을 배가시킨다. 선택적 기능은 두 가지 시나리오를 항상 고려해야 하며, 미래의 모든 기능에 영향을 준다. 글로벌 서비스의 경우 지역별 니즈에 맞춘 로컬라이즈로 시나리오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한다.
4. 결론
- 성공적인 프로덕트 매니저는 대부분의 요청에 "안된다"고 말할 수 있는 용기를 가져야 한다.
- 워렌 버핏의 말처럼, 매우 성공적인 사람들은 거의 모든 것에 "NO"라고 말한다.
- 넓은 시야에서 제품을 바라보고 진정으로 가치 있는 개선에 집중하는 것이 프로덕트 매니저의 핵심 역할이다.
한 줄 코멘트: 얼핏보면 단순해 보이는 질문들이고, 실무에서 "그래요~" 하고 지나치기 십상인 질문들이다. 허나, 저 질문들을 제대로 마주해 보면 프로덕트 생산과정에서 어떤 것에 집중하고, 무엇은 과감히 포기해야 하는지 명확해진다. 모든 요청에는 이유가 있다지만, 거르고 걸려 핵심기능에만 역량을 집중시키게끔 하는 것이 PM의 가장 큰 역할이자 책임이지 않을까 싶다.
'[내일배움캠프(PM2기_사전캠프)] > Daily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전캠프 Day 14] 문제정의와 PRD 작성하기(팀학습) (0) | 2025.03.27 |
---|---|
[사전캠프 Day 13] 아티클 스터디_<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Divide and Conquer> (0) | 2025.03.26 |
[사전캠프 Day 11] 아티클 스터디_<내가 PM하기 전에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0) | 2025.03.24 |
[사전캠프 Day 10] PM이란 무엇인가 (0) | 2025.03.21 |
[사전캠프 Day 9] 아티클 스터디_<도그냥 서비스 기획 스쿨> (0) | 2025.03.20 |